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3 작업전 TBM 활동 시 사전준비는 어떻게 할까? 동료와 나의 안전을 지키는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구축을 위한 활동으로써 TBM 활동은 무척 중요하다. 그렇다면 TBM 활동을 시작하기전 준비해야 될 작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작업별, 공정별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다. 위험성평가의 결과를 TOOL BOX MEETING 활동에서 작업자들에게 공유하기 위한 목적 비슷한 유형의 작업의 사건 사고 사례를 확인한다. 실제 현장의 아차사고 등의 실제 사건사고의 사례를 알려주는 것은 작업자들에게 간과하고 있던 문제점들을 도출시키는 과정이며 실질적인 위험사항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작업현장에 대해 사전조사를 한다. 작업현장은 어디인지, 주된 공정은 무엇인지, 소요되는 시간, 작업량, 작업인원의 숙련도는 어떻게 되는지와 필요한 안전보호.. 2024. 10. 25. 작업장에서 툴박스미팅(TBM)활동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 TBM(TOOL BOX MEETING) 이란 무엇인가? 툴박스 미팅은 현장에서 매일매일 바뀌는 작업에 대해 위험요소도 매번 바뀌게 되는데 그와 더불어 반복되는 작업에 대해서도 작업 전 10분을 투자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미팅이라고 할 수 있다.TBM(TOOL BOX MEETING)은 작업 시작 전 현장이나 현장 근처에서 해당 공정의 모든 작업자가 모여 작업내용, 작업 위험분석 및 안전작업순서에 관해 의논하고 토론하는 자리이다. 이 과정에서 모든 작업자들은 알고 있던 위험요인이나 새롭게 발생되는 위험요인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유도한다. TBM(TOOL BOX MEETING)은 준비단계에서는 서로 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작업투입이 위험한 작업자에 .. 2024. 10. 15. 위험성 평가 위험성 평가란?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위험성평가지침제3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 "위험성평가”란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2. "유해·위험요인”이란 유해·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3. "유해·위험요인 파악”이란 유해요인과 위험요인을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4. "위험성”이란 유해·위험요인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2024. 9.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