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축전기설비10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 (NFTC 108) 분말소화설비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8) 저장용기에 대해 알아보자.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 설치기준분말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1.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방호구역 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    치해야한다.2. 온도가 40 ℃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할 것3.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4.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5. 용기의 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6. 용기 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7. 저장용기와 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다만, 저장용기가 하나.. 2024. 11. 19.
전기기사 자격증, 꼭 따야 하는 이유 필수 자격증전기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꼭 따야 되는가요?' 라는 질문을 해본적이 있으시거나 마음에 담고 계신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YES' 입니다. 특히 전기 분야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시거나 관련된 직종에 종사할 계획이 있다면, 전기기사는 단순한 자격증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 .이 포스팅에서 왜 전기기사를 따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와 해택을 알아보겠습니다. 취업 경쟁력 Up! 공기업, 대기업 취업에 유리 전기기사 자격증은 취업시장에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 대기업, 공기업, 공공기관 등에서는 전기기사를 자격 요건으로 제시하거나 가산점을 부과합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전기관련 공공기관과 삼성, LG, 포스코 등 대기업들은 전기기사를 필수 자격으로 요구합니다. .. 2024. 11. 17.
UPS의 구성 및 전력변환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UPS :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무정전전원장치)교류(AC) - 직류(DC) - 교류(AC) 변환을 통하여 평상 시 전력의 품질(정전압, 정주파수)을 좋게 하고 정전 시 축전지를 이용하여 출력에 교류 무정전 전원을 공급한다.  교류전력은 정류부를 거쳐 직류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는 인버터와 축전지로 공급된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축전지는 부동충전 된다. 인버터를 거친 전력은 입력전원의 불안정성이 개선되어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은 좋게 유지된다. (입력전원의 필터링 역할) 입력전원의 공급이 중단(정전)되면 정류부로 DC전원이 공급이 중단되어 축전지로부터 DC전력이 방전된다. 이 전력으로 인버터에 계속 전력이 공급되어 무순단 무정전으로.. 2024. 11. 12.
KEC 규정 (KEC 211) 감전에 대한 보호에 대해 알아보자 감전이라는 것은 사람, 가축의 몸을 통과하는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영향으로 정의한다. 감전의 종류는 전류의 감지, 심실세동, 화상 등이 있다.  일반요구 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의 전압 규정교류전압 - 실효값직류전압 - 리플프리 보호대책기본보호와 고장보호의 조합, 특별전압에 의한 보호 기본보호고장보호특별 저압보호정상운전 중 전기설비 충전부 접촉을 보호누전 등 고장발생 기기 접촉 보호AC 50V, DC 120V 이하1. 충전부 절연2. 격벽이나 외함 설치3. 이격거리 외 설치1. 보호 등전위 본딩2. 전원 자동차단3. 보호접지4. 전기적 분리5. 강화절연 / 이중절연1. 비접지회로 적용 - SELV2. 접지회로 적용 - PELF3. 기능적 특별저압 사용시 적용 - FELV 2024. 11. 11.
KEC 규정에 따른 전선의 식별(상별 색구분) 전선의 색상은 중요하다. 상별 색상이 구별되어 있지 않다면 오접속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유지보수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3상 4선식에서 단상에 부하공급 시 부하전류 불평형이 발생할 수 있다. 편의상, 안전상 상별 색상을 구별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내선규정에서는  R, S, T, N으로 상구분을 하며 흑색, 적색, 청색, 백색 및 접지는 녹색으로 구분을 했었다. 내선규정을 대체하는 KEC 규정에서는 상구분은 L1, L2, L3, N으로 하며 상별로 순서대로 갈색, 흑색, 회색, 청색 접지는 녹색-노란색으로 표시해야 된다. 전기안전공사 검사 기준을 알아보자.1. 기 생산된 전선을 재고품이나 보유분 소진 시까지 사용가능하다.2. 신규 전선과 기존 전선 연결 시 기존 전선 종단부에 상별 색상 구.. 2024. 10. 23.
저압선로의 절연의 전기설비기술기준과 KEC규정 비교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하위 규정이었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폐지되면서 2022년 1월 1일부로 KEC 규정이 판단기준을 대체하게 되었다.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규정을 준수하여 전기설비를 관리를 해나가면 된다. 그렇다면 저압선로의 절연저항에 대해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KEC 규정을 어떻게 적용시켜야 되는지 알아보자.  1.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7조(전선로의 전선 및 절연성능) -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 전류의 1/2,000 을 넘지 않아야 한다.    ★ 이 기준은 사업자 설비의 저압전선로에 적용되는 기준이다. 2. KEC 132(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     ★.. 2024. 10.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