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전기설비규정2

KEC 규정에 따른 전선의 식별(상별 색구분) 전선의 색상은 중요하다. 상별 색상이 구별되어 있지 않다면 오접속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유지보수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3상 4선식에서 단상에 부하공급 시 부하전류 불평형이 발생할 수 있다. 편의상, 안전상 상별 색상을 구별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내선규정에서는  R, S, T, N으로 상구분을 하며 흑색, 적색, 청색, 백색 및 접지는 녹색으로 구분을 했었다. 내선규정을 대체하는 KEC 규정에서는 상구분은 L1, L2, L3, N으로 하며 상별로 순서대로 갈색, 흑색, 회색, 청색 접지는 녹색-노란색으로 표시해야 된다. 전기안전공사 검사 기준을 알아보자.1. 기 생산된 전선을 재고품이나 보유분 소진 시까지 사용가능하다.2. 신규 전선과 기존 전선 연결 시 기존 전선 종단부에 상별 색상 구.. 2024. 10. 23.
KEC 규정 즉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의 중요성과 역할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은 전기 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중요한 규정이다. KEC 규정은 2018년 우리나라의 여러 전기 관련 규정을 통합하여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공고로부터 3년 유예기간을 두고 2021년 1월 1일 시행이 되었다. 여러 가지 우여곡절 끝에 제정된 KEC 규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1. 법적근거KEC 규정은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의 '기술기준의 제정'에 근거한다.2. 안전성 확보KEC 규정은 전기 설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사고를 예방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3. 표준화KEC 규정은 전기 설비.. 2024. 10.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