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대재해 처벌법?
최근 한국 사회에서 중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법적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2년 1월 27일, 중대재해 처벌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었습니다. 이 법은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사업주에게 책임을 부여하는 중요한 법적 장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중대재해 처벌법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1. 중대재해의 정의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말합니다.
2. 중대산업재해
-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했을때.
-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했을 때
-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했을 때
3. 중대시민재해
-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했을 때
-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했을 때
-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했을 때
중대산업재해
1. 적용범위
상시 근로자가 5명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2.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의 처벌
-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를 소홀히 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사망자 1명 이상 발생 시 -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
-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했을 때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했을 때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3. 법인 및 기관에 부과되는 벌금
- 사망자 1명 이상 발생 시 - 50억원 이하의 벌금
-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했을 때 - 10억원 이하의 벌금
-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했을 때 - 10억원 이하의 벌금
법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
중대재해 처벌법은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법입니다. 이 법이 시행됨으로써 기업들은 안전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되고, 근로자들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또한, 법적 책임이 명확해짐에 따라 사업주들은 안전 규정을 준수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호구 신청서 양식 (1) | 2024.10.07 |
---|---|
날씨예보는 날씨누리보다 윈디? (3) | 2024.10.06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 및 제출 (3) | 2024.09.13 |
산업안전보건법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0) | 2024.09.13 |
위험성 평가 (1)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