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컴퓨터활용능력(컴활) 자격증 원트 합격에 함께 도전?! 🔍 "컴활" 자격증, 도전할 가치가 있을까?우리가 사는 세상은 점점 더 디지털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문서 작업, 데이터 분석, 프레젠테이션 등 많은 직장 업무가 컴퓨터 활용 능력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 바로 이때,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컴활)이 빛을 발한다. 컴활 자격증은 단순한 자격증 그 이상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하나의 증명서이다.💡 컴활 2급? 컴활 1급? 나에게 맞는 난이도는?컴활 2급은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취득할 수 있어서 컴퓨터 초심자에게 적합하다. 기본적인 엑셀 작업, 함수 활용, 데이터 필터링 정도를 시험에 다루기 때문에 기본기만 익히면 누구나 도전 가능하다.반면, 컴활 1급은 본격적으로 심화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피벗 테이블, 고급 함수, 매크로 활용 등.. 2024. 11. 2.
무선설비기능사 공개문제 다운로드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치러지는 무선설비기능사 시험을 준비하실때 필요한 공개문제입니다. 무선설비기능사 공개문제2음 전환 경보회로, 발진음 전환회로, 단속음 변환회로, 2음 발진회로, VCO 단속경보기, 교차 발진회로, 발진음 선택회로,통화신호회로, 우선 선택 표시회로, 주파수 혼합회로, 터치 경보회로, 단속음 발진회로, 2음 경보 분주회로, 시퀀셜 타이머, OP 발진 및 증폭회로, 5음색 발진기, 디지털 입력 AM 변조회로, 오실로스코프 측정 2024. 11.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은 무엇이 있을까?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치러지는 국가자격시험 외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도 다양한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이 치러진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통신에 관한 자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자.기술사  정보통신기술사 기능장 통신설비기능장 기사 및 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정보통신산업기사무선설비기사무선설비산업기사방송통신기사방송통신산업기사전파전자통신기사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정보보안기사정보보안산업기사 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방송통신기능사전파전자통신기능사통신선로기능사통신기기기능사 이렇듯 통신분야의 다양한 자격시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신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Q-NET)이 아닌 KCA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자격시험을 응시하고 준.. 2024. 11. 1.
작업전 TBM 활동 시 사전준비는 어떻게 할까? 동료와 나의 안전을 지키는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구축을 위한 활동으로써 TBM 활동은 무척 중요하다. 그렇다면 TBM 활동을 시작하기전 준비해야 될 작업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작업별, 공정별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다.     위험성평가의 결과를 TOOL BOX MEETING 활동에서 작업자들에게 공유하기 위한 목적  비슷한 유형의 작업의 사건 사고 사례를 확인한다.       실제 현장의 아차사고 등의 실제 사건사고의 사례를 알려주는 것은 작업자들에게 간과하고 있던 문제점들을 도출시키는 과정이며  실질적인 위험사항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작업현장에 대해 사전조사를 한다.        작업현장은 어디인지, 주된 공정은 무엇인지, 소요되는 시간, 작업량, 작업인원의 숙련도는 어떻게 되는지와 필요한 안전보호.. 2024. 10. 25.
산수유가 익어가는 가을에 산수유가 빨갛게 익어가고 가을도 익어가고 있다. 산수유 나무가 빨갛게 열매를 매달고 가을이 왔다고 알리는 듯 하다. 얼마전 농촌에서 산수유 씨앗을 이로 빼서 햇볕좋은 곳에서 과육을 말리는 할머니가 TV 프로그램으로 방영됐었다. 얼마나 많은 씨앗을 이로 빼는 작업을 하셨으면 이가 많이 상한 할머니가 참 인상적으로 보였었다. 산수유는 건강에도 좋다. 말린 산수유를 차로 마셔보자. 산수유의 효능은 간과 콩팥 기능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가끔은 산새들도 와서 한알 두알씩 산수유 열매를 따먹고 간다. 건강에 좋은것을 알아서 일까? 빨간 산수유를 하나 따서 입에 넣어본다. 달큰 씁쓸한 맛이 입안에 맴돈다. 2024. 10. 24.
KEC 규정에 따른 전선의 식별(상별 색구분) 전선의 색상은 중요하다. 상별 색상이 구별되어 있지 않다면 오접속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유지보수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3상 4선식에서 단상에 부하공급 시 부하전류 불평형이 발생할 수 있다. 편의상, 안전상 상별 색상을 구별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내선규정에서는  R, S, T, N으로 상구분을 하며 흑색, 적색, 청색, 백색 및 접지는 녹색으로 구분을 했었다. 내선규정을 대체하는 KEC 규정에서는 상구분은 L1, L2, L3, N으로 하며 상별로 순서대로 갈색, 흑색, 회색, 청색 접지는 녹색-노란색으로 표시해야 된다. 전기안전공사 검사 기준을 알아보자.1. 기 생산된 전선을 재고품이나 보유분 소진 시까지 사용가능하다.2. 신규 전선과 기존 전선 연결 시 기존 전선 종단부에 상별 색상 구.. 2024. 10.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