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제15조를 알아보자.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제15조는 소방안전관리자 정보의 게시에 대한 법이다. 쉽게 말해서 소방대상물의 출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명칭 및 등급, 소방안전관리자의 성명 및 선임일자,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 소방안전관리자의 근무위치(화재수신기 또는 종합방재실을 말함)가 포함된 현황표를 게시하여야 한다.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다운로드 2024. 10. 20. 저압선로의 절연의 전기설비기술기준과 KEC규정 비교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하위 규정이었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폐지되면서 2022년 1월 1일부로 KEC 규정이 판단기준을 대체하게 되었다.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규정을 준수하여 전기설비를 관리를 해나가면 된다. 그렇다면 저압선로의 절연저항에 대해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KEC 규정을 어떻게 적용시켜야 되는지 알아보자. 1.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7조(전선로의 전선 및 절연성능) -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 전류의 1/2,000 을 넘지 않아야 한다. ★ 이 기준은 사업자 설비의 저압전선로에 적용되는 기준이다. 2. KEC 132(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 ★.. 2024. 10. 19.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위험물의 정의)을 공부해보자. 위험물기능장 2차 실기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들 중 하나가 위험물의 정의에 대해서 물어보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준비를 해보자. 자주 출제되는 정의에 대해서는 굵은 서체로 표현을 하겠다. 1. "산화성고체"라 함은 고체[액체(1기압 및 섭씨 20도에서 액상인 것 또는 섭씨 20도 초과 섭씨 40도 이하에서 액상인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또는 기체(1기압 및 섭씨 20도에서 기상인 것을 말한다)외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 또는 충격에 대한 민감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이하 "고시"라 한다)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액상"이라 함은 수직으로 된 시험관(안지름 30밀리미터, 높이 120밀리미터의 원통형유.. 2024. 10. 17. KEC 규정 즉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의 중요성과 역할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은 전기 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중요한 규정이다. KEC 규정은 2018년 우리나라의 여러 전기 관련 규정을 통합하여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공고로부터 3년 유예기간을 두고 2021년 1월 1일 시행이 되었다. 여러 가지 우여곡절 끝에 제정된 KEC 규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1. 법적근거KEC 규정은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의 '기술기준의 제정'에 근거한다.2. 안전성 확보KEC 규정은 전기 설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사고를 예방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3. 표준화KEC 규정은 전기 설비.. 2024. 10. 17. 작업장에서 툴박스미팅(TBM)활동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 TBM(TOOL BOX MEETING) 이란 무엇인가? 툴박스 미팅은 현장에서 매일매일 바뀌는 작업에 대해 위험요소도 매번 바뀌게 되는데 그와 더불어 반복되는 작업에 대해서도 작업 전 10분을 투자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미팅이라고 할 수 있다.TBM(TOOL BOX MEETING)은 작업 시작 전 현장이나 현장 근처에서 해당 공정의 모든 작업자가 모여 작업내용, 작업 위험분석 및 안전작업순서에 관해 의논하고 토론하는 자리이다. 이 과정에서 모든 작업자들은 알고 있던 위험요인이나 새롭게 발생되는 위험요인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유도한다. TBM(TOOL BOX MEETING)은 준비단계에서는 서로 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작업투입이 위험한 작업자에 .. 2024. 10. 15.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6)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6)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 제1호바목에 따른 물분무등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1.2 기준의 효력 1.2.1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6호나목에 따라 물분무등소화설비인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기술기준으로서의 효력을 가진다. 1.2.2 이 기준에 적합한 경우에는 법 제2조제1항제6호나목에 따라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6)」을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1.3 기준의 시행 1.3.1 이 기준은 2024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개.. 2024. 10. 11.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 728x90 반응형